-
케이프 시장, 브라질서 물동량 회복 힘입어 하락세 둔화 10월31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전일보다 43포인트 하락한 1459로 마감됐다. 이날 벌크시장은 모든 선형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최근 폭락이 거듭됐던 케이프선 시장은 하락 폭이 다소 누그러졌다. 한국형 건화물선 운임

11/02
-
9월 물동량 19% 급증…운임 최저치 경신 중국 국경절 연휴 전 밀어내기 특수가 나타나면서 한중항로 물동량이 두 자릿수의 성장을 기록했다. 황해정기선사협의회에 따르면 9월 한중 양국을 오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9만69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달 24만8500TEU에서 19.5% 성장했다. 수출

10/31
-
몽골 현지서 대한항공, 동영해운, 시노트란스 등과 협력 한진은 최근 몽골 울란바토르에 몽골 대표사무소를 설립하고 몽골 물류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아시아 물류 거점을 촘촘히 확보해 나간다고 밝혔다. 한진의 아시아 지역 물류 진출 국가로는 이번이 총 10번째다. 기존 한진은 아시아 지역 해외법인으로서 중국 5개

10/30
-
2023년 8월 인도 국내선 점유율 63.3% 인도 대표 항공사 인디고항공은 인도 민간항공총국(DGCA)이 발표한 자료를 통해 인도 국내선 시장 점유율 1위의 자리를 공고히 다졌다고 24일 밝혔다. 이 항공사는 2023년 8월 기준으로 63.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고, 독보적인 네

10/26
-
타이중·하이퐁 등 4곳 추가 중국대만 선사 TS라인은 이달 말부터 일본과 중국 화남, 베트남을 연결하는 JTK2 서비스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TS라인은 타이중, 난사, 하이퐁, 친저우

10/25
-
대만 컨테이너선사 완하이라인이 남은 하반기에 인도받는 1만3100TEU급 신조 컨테이너선 2척을 아시아-북미 노선에 배선한다.완하이라인은 지난 12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1만3100TEU급 2척의 신조선 명명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선사 측은 신조선 2척을 <완하이A05> <완하이A06>으로 각각 이름 지었다. <

10/24
-
DACKS 조선소서 신조선 명명식 홍콩 선사 OOCL이 중국 조선소에서 지어진 2만4000TEU급 여섯 번째 컨테이너선을 아시아-유럽항로에 배선한다.OOCL은 중국 코스코와 일본 가와사키중공업이 합작 설립한 다롄코스코가와사키조선(DACKS)에서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명명식을 가졌다고 밝혔다.2만4000TEU급 12척 중

10/23
-
중국·중앙亞발 물동량 80% 카자흐 거쳐…물동량도 두배 이상 증가 카자흐스탄이 팬데믹 이후 물류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핵심 물류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김동환 전문연구원은 유럽 물류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아시아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