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관세 부과 가시화…시황에 부정적 작용 최근 강세를 보였던 벌크선 시장은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운임이 크게 인상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이 성약을 미루면서 상승세가 꺾였다. 전반적으로 대서양 수역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월4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전일보다 14포인트 하락한 126

03/05
-
HD현대중공업서 명명식 가져 일본 선사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가 한국 조선소에서 지어진 1만4000TEU급 신조선을 아시아와 중남미를 연결하는 컨테이너항로에 띄운다.ONE은 최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1만4000TEU급 컨테이너선의 명명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1만4000TEU급 20척 중 1번째 선박을 인도

03/04
-
자회사 TIL-마르사마로크 파트너십…터미널 운영 참여 스위스 선사 MSC의 터미널 자회사인 터미널인베스트먼트(TIL)가 모로코항 컨테이너터미널 지분 49%를 확보했다.TIL은 모로코의 항만 터미널 운영사 마르사마로크(Marsa Maroc)와 터미널 운영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03/03
-
종사인원 5500만명 넘어서 지난해 중국 물류산업의 총 매출액이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중국물류구매협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물류산업 총 수입액은 13조8000억위안을 기록, 전년과 비교해 4.9% 증가했다.같은 해 선도 물류기업의 물류업무 매출 규모는 2조위안으로, 전체 물류산업 수입의 16% 이상을 차지했다.&

02/28
-
해상대비 운송일 약 20일 단축 최근 자동차부품, 컴퓨터 등을 만재한 정기화물열차가 충칭 단결촌역을 출발함으로써 중국, 라오스, 태국을 연결하는 정기화물열차가 개통했다.중국-라오스-태국 정기열차는 해상에 비해 운송 시간을 약 20일 단축함으로써 물류비를 약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지난 1월 단결촌역에서 출

02/27
-
중소형선 시장, 멕시코만서 곡물 유입 주춤 벌크선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고조되고 있지만 중국에서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발표될 거란 기대감과 철광석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2월25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전일보다 37포인트 상승한 1039로 발표됐다.

02/26
-
운임 전달 대비 보합세 한중항로 물동량에 새해에도 수입화물의 견실한 흐름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운임은 하락세로 전환했다.황해정기선사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1월 한중 양국을 오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9만97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달의 28만1800TEU에 견줘 2% 성장했다. 한중항로 월간 물동량은 지난

02/25
-
건조총액 4.2~4.6조…2027년 인도예정 중국대만 선사 에버그린이 세계 최대 규모의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짓는다.에버그린은 2만4000TEU급 LNG(액화천연가스) 연료 추진 컨테이너선 11척을 한국 한화오션과 중국선박그룹(CSSC)의 자회사인 광저우조선(GSI)에 발주한다고 최근 대만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