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수출자 '허가증' 정상 발급 중…수입 잘 이뤄져" 중국 충칭(重慶)의 한 반도체 공장에서 지난 8월24일 근로자들이 작업에 매달려 있다. 중국의 일부&nbs

12/25
-
지중해행 운임도 3개월만에 1500弗 넘어서 유럽과 북미 등의 노선에서 시황이 강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12

12/21
-
중국조선 1~10월 수주 6106만t…63%↑ 중국 조선이 올해 10개월 동안 60%를 웃도는 수주 실적 성장을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중국조선협회(CANSI)에 따르면 올

12/20
-
공급과잉에 선사들 노선 감축 본격화 한중항로는 해운 불황 여파로 운임이 급락하면서 심각한 침체에 빠졌다. 물동량은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였다.황해정기선사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한중 양국을 오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69만97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270만9900TEU에서 0.4% 감소했다.

12/19
-
파나마운하 통항제한 내년까지, 선사들 할증료 부과 올 한 해 북미항로는 중국발 수요가 급감한 데다 공급이 늘어나면서 약세 시황이 지속됐다. 2022년부터 재고가 계속 쌓인 데다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에 물동량 약세가 지속됐다는 게 선사들의 전언이다. 선사 관계자는 “임시결항으로 30%가량의 공급

12/18
-
12월 말 취항 중국 선사 SITC는 동일본과 중국 상하이 타이창을 연결하는 정기 컨테이너 서비스에 히타치나카를 추가 기항한다고 밝혔다. 이 노선엔 950~1000TEU급 컨테이너선이 배선돼 나고야와 도쿄 센다이와 중국을 연결해 왔다. 변경되는 운항 일정은 상하이-나고야-도쿄-히타치나카(목)-센다이-상하이-타이

12/15
-
올해 14만5000TEU 취급 지난달 27일 일용소상품 100TEU를 만재한 열차가 중국 이우 서역을 출발해 닝보·저우산항 베이룬항철도역에 도착, ‘이우-닝보·저우산항’ 해운철도복합운송 누적 운송량이 80만TEU를 돌파했다. 올해에만 14만5000TEU를 취급, 닝보·저우산항 해운

12/14
-
창고 48만㎡ 늘려 덴마크 머스크는 3년간 5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동남아시아 내 물류사업을 강화한다고 최근 밝혔다.머스크는 2026년까지 약 48만㎡의 창고 능력을 추가하고, 해운·터미널 부문에서도 인프라 투자를 확대한다. 세계적인 생산·소비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에서 글로벌 통합(Int

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