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수액은 밝혀지지 않아 덴마크 AP묄러-머스크그룹의 유조선 자회사인 머스크탱커는 최근 탱크선의 커머셜 관리를 담당하는 미국 펜필드마린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머스크탱커는 총 240척의 탱크선대를 꾸리게 됐다.인수 절차는 이달 2일에 마쳤으며, 인수액은 밝혀지지 않았다. 통합회사는 머스크탱커의 사명과 브

01/12
-
‘컨’ 수송량은 3% 늘어난 734만TEU 기록 홍콩 컨테이너선사인 OOCL의 지난해 매출액이 두 자릿수의 감소세를 보였다.OOCL은 2023년 한 해 총 매출액이 전년&nb

01/11
-
BDI 1875포인트…모든 선형서 약세 1월9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전일보다 147포인트 하락한 1875로 마감됐다. 이날 벌크 시황은 해상운임 선물거래(FFA) 시장의 약세과 케이프

01/10
-
MSC·머스크 전 노선 희망봉 우회 최근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대상으로 후티 반군의 공격이 격화되면서 해상 운임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선사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으로 항로를 틀고 고객들에게 선박 일정이 7~20일가량 지연될 것임을 예고했다.지난해 11월부터 팔레스타인 지지를 명분으로 내세워

01/09
-
소형선 시장, 시황 반등 쉽지 않을 듯 1월5일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는 전일보다 24포인트 상승한 2110으로 마감됐다. 지난 주 벌크 시황은 선형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케이프 시장은 대서양 수역의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파나막스와 수프라막스 시장은 약세 시황이

01/08
-
운영 첫해 ‘성공적’ 중국 광저우항 난사 4기 전 자동화터미널이 운영 첫 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광저우항은 난사 4기 전 자동화터미널 취급량이 <따펑항하이롱>호의 컨테이너를 하역함으로써 지난한 해 취급량이 150만TEU를 넘어섰다고 밝혔다.지난해 난사 4기는 1기 공정 준공 검사(항만경영허가증)

01/05
-
짐라인 입항 즉각금지 표명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스라엘 국적 선박의 말레이시아 입항을 금지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스라엘 기업의 보유선 및 이스라엘 국적선, 이스라엘 입항 예정선이 대상이다.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팔레스타인에서 현재 진행 중인 학살과 잔학 행위를 통해 국제법을 위반하는 이스

01/02
-
컨테이너 처리능력 제고 기대 최근 중국 산둥성 정부는 산둥항구 칭다오항 자동화터미널 2개 선석에 관한 대외 개방을 정식 승인했다.지난 13일 산둥성개방구판공실, 칭다오세관, 산둥출입국검사총국, 산둥해사국과 산둥성 교통운수청 등으로 구성된 합동검사팀이 자동화터미널 2개 신설 선석에 대한 검사를 진행, 대외개방조건 및 개방구

12/28